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11

[성경공부]2020.07.27_욥기 16장_최철규목사님 [욥기 성경공부] 16:1-22 고마해라, 마이 무따 아이가(그만해라, 많이 먹지 않았냐) 영화 ‘친구’ 이야기를 안 할 수가 없다. 이런 이야기가 외국어로는 어떻게 표현될 지는 모르겠다. 영화는 절친이었던 사람들이 서로 대적하다가 끝내 친구를 죽게 하는 상황까지 가는데 죽는 마당에 친구라는 것을 내려놓는 영화이야기다. 영화의 작품성은 없어 보이지만, 영화 ‘대부’에서도 그랬던 것처럼 조폭영화로 악한 인간현실의 민낯을 보여주는 것이다. 현재 4명의 친구들은 욥을 향하여 반복되는 충고 아닌 충고로 고통을 더 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결국 누구의 말이 옳은지 논쟁하고 있는 것이다. 친구가 재난의 위로자라고 생각하는데, “나도 너희들처럼 남의 일로 말할 수 있다, 그만해라!”(1-6절) 주님도 나를 이렇게.. 2020. 7. 27.
[성경공부]욥기15장 [욥기 성경공부] 15:1-35 너희가 친구냐? 친구란 무엇인가? 오래 사귀고 가까이 둔 사람이 아닌가? 우리 선교사 동료 중에 신학교에서 한 방을 쓰고 친구로 오랫동안 지내다가 결국 ‘친구따라 강남 간다’는 말처럼 선교 현지에 와서 함께 사역하는 이들이 있다. 그 우정은 너무나 놀랍다. 오랜 시간 서로 사귀고 삶을 나누는 일은 참으로 귀한 것이다. 그러나 반대로 친구가 배신하는 경우도 우리는 종종 본다. 오늘 본문에서처럼 슬픈 일이다. 엘리바스의 재등장으로 그는 욥이 어이없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고 하며 더 이상 듣지 않으려 한다는 것을 표현하고 있다. 그리고 욥의 죄악이 그 입을 지배하여 반론한다는 것을 지적한다.(1-6절) 그리고 마치 지식배틀이라도 하려는 듯하다.(7-10절) 데만 사람 엘리바스와.. 2020. 7. 26.
[성경공부]욥기14장 [욥기 성경공부] 14:1-22 소망은 어디에서 오는가? "하나님의 치료가 우리에게 고통스러울 수밖에 없는 이유는, 우리가 너무나 오랫동안 자기 것으로 주장해온 의지를 되돌려 드리는 일이 본질적으로 가혹한 고통이 될 수밖에 없기 때문일 것이다."(C. S, 루이스, 고통의 문제) 욥은 주님께 질문을 이어가고 있다. 여자에게서 난 자가 사는 날 동안 괴로움이 있고 인생이 꽃과 같은 모습인데 주께서 심문하시면 그 앞에 설 자가 누구일까.(1-6) 차라리 소망 자체도 주님 앞에 가는 것이라는 말이다. 욥이 여자에게 난 자가 뱀의 머리를 상하게 한다는 것을 기억할지 모르겠다. 예수 그리스도도 여자의 몸에서 나와 고난을 당하시지 않았는가? 나무도 소망이 있는 것은 베어져도 그 그루터기가 다시 살아나고 새순이 나와.. 2020. 7. 26.
[성경공부]욥기13장 [욥기 성경공부] 13:1-28 격언은 이제 그만, 나는 주님께 직접 듣고 싶다. 삼단논법이 생각이 난다. 유대인들의 전통에서 얘기해 볼 수 있다. 죄는 고통을 가져온다. 고통 받는 자에게는 죄가 있다. 그래서 고통 받는 자는 죄인으로 봐야 한다. 그러나 변증법으로는 이렇게 말할 수 있다. 죄는 고통을 가져온다. 그러나 의로운 사람 중에도 고통 받는 사람이 있다. 죄가 고통을 가져오는 것은 맞지만, 때로 의로운 사람도 고통 받는 경우가 있으므로 고통이 있다고 하여 다 죄인은 아니다. 욥의 친구들은 고통 받는 욥에게 죄가 있으니 고통이 따른다는 것을 주지시킨다. 욥은 “그것은 나도 안다. 그러나 그런 격언은 이제 진부한 것이고 나의 삶의 상황은 좋지 않지만 꼭 그렇지 않다. 나의 본래 태도로는 악의가 없고.. 2020. 7. 26.
[성경공부]2020.07.18_욥기 12장 [욥기 성경공부] 12:1-25 잔소리 반복해서 듣기 춘향전이나, 심청전, 혹은 백설공주와 신데렐라 등 고전을 오늘날에 얘기할 때는 다른 방법으로 가지고 와야 사람들이 반응할 것이다. 예를 들어 방자전, 자기 몸을 바쳐 은혜 갑은 참새, 흑설공주 그리고 궁궐에서 도망친 신데렐라 등이 그런 것이다. 새로운 것으로 각색하지 않고 어떻게 어필 할 수 있을까? 때로 같은 주제를 하지 말고 어그로 바꾸기도 하고 혹은 반전으로 시대적 상황을 끌고 와야 할 때가 종종 있다. 친구들이 자신을 조롱거리로 삼고 있는 듯한 욥의 심정을 보면, 그렇게 잘난척하는 지혜자가 죽으면 그 지혜도 없어지니 차라리 친구도 사라졌으면 좋겠다는 얘기를 한다.(1-3절) 그리고 만물에게 물어봐서 그것들이 이 상황을 판단해도 친구들의 말은 틀.. 2020. 7. 18.
[성경공부]2020. 07. 17 금요일 욥기 11장 [욥기 성경공부] 11:1-20 그 입을 다물라! 영화 ‘살인의 추억’에서 범인이 잡히지 않으니까 경찰은 애매한 사람을 붙잡아 고문하면서 범행을 자백하라고 심문하는 장면이 나온다. 그런 무리수를 두는 수사는 많은 이들을 괴롭게 하고 때로 무죄인 사람을 오랫동안 억울하게 감옥에 있게 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본문에 또 다른 세 번째 친구 나아마 사람 소발이 욥의 태도에 대해 지적질을 반복한다. 참고 보고 있다가 다른 친구들의 말을 거드는 분위기이다.(1,2절) 어떻게 친구들이 욥 죽이기 팀킬을 하고 있는지 처음에 그들이 어떻게 친구가 되었는지가 궁금할 정도이다. 소발은 참고 참다가 이미 언급한 문제들을 부인하고 있는 욥에게 격분한 상태로 말한다. 그의 말을 바꾸면 “욥아 너는 어떻게 된 인간이 들을 줄 모.. 2020. 7.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