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업경영4 [경영] 동기부여가 성공의 핵심이다. 좌뇌 및 우뇌로 대표되는 뇌 기능 연구가 말해주는 것은, 간단히 말해 비즈니스란 좌뇌의 기준으로보면 지극히 '불합리'하고 감정적인 인간들이 벌이는 일이라는 것이다. 인간은 이기는 편에 서길 원하고, 자신이 속한 작은 집단이 번성하고 그곳에서 우정을 키웠을 때 생기가 돌며, 최소한 자기 운명의 일부만이라도 자신이 좌우할 수 있기를 바라는 존재인 것이다. 이런한 기업은 개개인이 자신감을 최대한 살릴 수 있도록 기회를 준다. 또 질이 높은 업무를 주고 다른 사람에 대한 친밀감을 추구할 수 있는 터전과 개개인을 물심양면으로 지원하고 성공을 자축할 수 있는 기회까지 만들어준다. 그리고 더더욱 긴밀히 연결되는 소규모 네트워크를 조직할 수 있도록 만든다. 일정한 범위 안에서 본인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2020. 7. 25. [경영]합리주의가 만병통치약은 아니다. / 동기부여가 성공의 핵심이다. 스탠퍼드대학의 해럴드 레비트 교수는 경영프로세스를 다음 세 가지 요소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파악한다. 세가지 요소란 개척, 의사결정, 실행을 말한다. 합리주의적 접근법은 이 가운데서 의사결정을 제외한 다른 요소에는 별다른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 해럴드 레비트는 학생드에게 이 세 가지 행동의 차이를 가르칠 때 유명한 정치가를 각 유형의 예로 든다. 예컨대 개척자의 전형적인 예로는 존 에프 케네디를 들고, 결정자의 예로는 케네디 정권의 국방장관 로버트 맥나마라 또는 대통령 시절의 지미 카터등을 든다. 또 실행을 중요시하는 사람으로는 누구나 린든 존슨을 떠올린다. 해럴드 레비트는 또한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여러가지 작업을 세가지 유혀으로 분류하고 있다. 예컨대 결정자, 증 결정을 내려야 하는 사람에는 시스.. 2020. 7. 25. [경영]초우량 기업의 8가지 특징_5~8 6. 핵심 사업에 집중한다. 존슨 앤드 존슨의 회장 로버트 존슨은 이것을 "자사가 잘 모르는 사업 분야의 기업은 절대로 매수하지 말라."라는 말로 표현했다. 또한 P&G의 전 회장 에드워드 하니스도 "우리회사는 기지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있지 않다. 우리는무분별하게 다각화 하는 것을 제외한 모든 것을 지향한다."라고 말했다. 물론 다소의 예외는 있으나 자사가 잘 알고 있는 사업 분야에 전력을 기울이는 기업이 더 훌륭한 성과를 올리는 경우가 많다. 7. 단순한 조직과 작은 본사를 지향한다. 우리는 주로 조사한 대기업 중에서 매트릭스 조직구조를 공식으로 채택한 곳은 하나도 없었고, 그것을 시도해보았던 일부 기업도 우리가 조사를 실시한 시점에서는 이미 포기한 후였다. 초우량 기업의 근간이 되는 조직구조와 시스.. 2020. 7. 25. [경영]초우량 기업의 8가지 특징_1~4가지 내용 1. 실행을 중용시 한다. 물론 이들 기업들이 의사결정을 할 때는 분석적인 접근을 할지라도 다른 기업들처럼 분석 자체를 중요시한 나머지 행동이 마비되지는 않는다. 이들 기업의 대부분은 행동지침이 "해보라!안 되면 고쳐라!시도해보라!"인 것이다. 예컨대 디지털 이큅먼드의 한 간분는 이렇게 말하고 있다. "어떤 분야에 큰 문제가 발생하면 그 분야의 전문가 10명을 선발해 1주일 정도 합숙시킨다. 그러면 해답을 갖고 나와 훌륭하게 실행할 것이다." 더군다나 초우량 기업은 기본적으로 실험정신이 왕성하다. 그들은 신제품을 출시하고자 할 때 엔지니어 및 마켕 담당자 250명을 15개월이나 외부와 격리하는 무모한 일 같은 것은 하지 않았다. 그들은 25명을 15개월이나 외부와 격리하는 무모한 일 같은 것을 하지 않았.. 2020. 7. 2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