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영자4 [경영]보상의 역활 자세히 검토해보면 스키너의 이론 가운데서경청할 만한 것이 있다. 특히 긍정적 강화 또는 뛰어난 과업 수행에 대한 보상의 역활을 제대로 평가하고 있는 점에 대해서는 그의 의견을 인정해줘야 한다. 스키커는 특히 긎엊적 강화(잘한 것에 대한 보상)와 부저적 강화(잘못한 것에 대한 처벌)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음을 강조한다. 긍정적 강화는 원래 의도했던 대로 그 사람의 행동을 변화시킨다는 것이다. 긍정적 강화는 인간의 행동을 형성하고 인간에게 자기 자신의 모습을 가르쳐주며, 또 그 과정에서 인간성을 향상시킨다. 먼저 마이너스의 예를 들어보자. 가령 누군가가 고객을 소홀히 다뤘다는 이유로 질책을 받았다 치자. 그렇게 되면 우리는 고객에 대한 응대를 잘하혀면 구체적으로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못할 뿐만 아니라 가능한 한.. 2020. 7. 26. [경영]보상의 역활 자세히 검토해보면 스키너의 이론 가운데서경청할 만한 것이 있다. 특히 긍정적 강화 또는 뛰어난 과업 수행에 대한 보상의 역활을 제대로 평가하고 있는 점에 대해서는 그의 의견을 인정해줘야 한다. 스키커는 특히 긎엊적 강화(잘한 것에 대한 보상)와 부저적 강화(잘못한 것에 대한 처벌)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음을 강조한다. 긍정적 강화는 원래 의도했던 대로 그 사람의 행동을 변화시킨다는 것이다. 긍정적 강화는 인간의 행동을 형성하고 인간에게 자기 자신의 모습을 가르쳐주며, 또 그 과정에서 인간성을 향상시킨다. 먼저 마이너스의 예를 들어보자. 가령 누군가가 고객을 소홀히 다뤘다는 이유로 질책을 받았다 치자. 그렇게 되면 우리는 고객에 대한 응대를 잘하혀면 구체적으로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못할 뿐만 아니라 가능한 한.. 2020. 7. 26. [경영]단순함이 중요한 이유 초우량 기업의 특성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의 하나는 그들이 그냥 두면 차츰 복잡해지는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막기 위해 사물을 단순화시키는 것이 매우 주용한 일임을 잘 알고 있다는 사실이다. 노벨상 수상자인 허버트 사이먼과 그의 동료들이 발견한 사실 중에서 의미심장한 것 중의 하나는 인간은 새로운 데이터와 정보를 대량으로 처리하는 데 부적합하다는 것이다. 단기간에 확실히 기업해둘 수 잇는 데이터의 양은 많아야 여섯 가지 내지 일곱 가지에 지나지 않는다고 한다. 여기서 경영상의 큰 딜레마가 있다. 왜냐하면 대기업의 세계는 그야말로 복잡하기 이를 데 없기 때문이다. 그것이 얼마나 복잡한지는 기업 안에 인가인 산술급수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연락망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것만 봐도 알수 있다. 최근에 우리는 많.. 2020. 7. 25. [경영]합리주의가 만병통치약은 아니다. / 동기부여가 성공의 핵심이다. 스탠퍼드대학의 해럴드 레비트 교수는 경영프로세스를 다음 세 가지 요소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파악한다. 세가지 요소란 개척, 의사결정, 실행을 말한다. 합리주의적 접근법은 이 가운데서 의사결정을 제외한 다른 요소에는 별다른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 해럴드 레비트는 학생드에게 이 세 가지 행동의 차이를 가르칠 때 유명한 정치가를 각 유형의 예로 든다. 예컨대 개척자의 전형적인 예로는 존 에프 케네디를 들고, 결정자의 예로는 케네디 정권의 국방장관 로버트 맥나마라 또는 대통령 시절의 지미 카터등을 든다. 또 실행을 중요시하는 사람으로는 누구나 린든 존슨을 떠올린다. 해럴드 레비트는 또한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여러가지 작업을 세가지 유혀으로 분류하고 있다. 예컨대 결정자, 증 결정을 내려야 하는 사람에는 시스.. 2020. 7. 25. 이전 1 다음